안녕하세요!
한국외국어대학교 김정원 멘토입니다.
저는 6개의 원서 전부 논술전형으로 지원했었습니다. 이번 칼럼으로 논술 접수를 할 때 알고 있으면 좋을 점들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해요! 제가 논술전형을 지원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던 부분들을 정리해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해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여주는 논술전형에서 합격할 수 있는 첫 걸음은 지원할 학교를 잘 찾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논술전형을 지원할 계획이 있는 분들이시라면 이번 칼럼 꼼꼼히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저등급 고려하기
정말 당연한 부분이지만, 최저를 맞추지 못 한다면 시험을 봐도 합격을 할 수 없다는 것을 항상 염두해야 합니다.
9월 모의고사 성적을 토대로 최저를 확실하게 맞출 수 있는 학교들에 많이 지원하는 것이 좋겠죠?
보통 논술 최저를 못 맞춘 학생들이 3~40%, 많게는 50%까지 가는 학과들도 본 적이 있는데요, 최저를 못 맞춰서 실질경쟁률을 떨어뜨리는 학생들에 내가 포함되면 안 된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수능 공부를 해야 합니다.
논술 합격을 하기 위해서는 지원한 학교의 최저등급을 맞추는 것은 너무 당연한 조건이죠!!
(저는 최저를 고려할 때 별 일 없으면 맞출 수 있는 4학교, 수능에서 미끄러져도 맞출 수 있는 1학교, 수능 대박 날 경우를 생각한 1학교 이렇게 지원했습니다! )
#자신의 논술쓰는 방식과 잘 맞는 학교 선정하기
논술전형은 논술시험의 배점이 매우 큰 전형으로, 논술에서의 점수로 당락이 결정된다는 것은 모두 알고 계시겠죠?
그래서 논술전형을 지원할 학교를 찾을 때 가장 크게 고려해야 할 것이 ‘그 학교의 논술 시험과 내가 논술을 작성하는 방식이 잘 맞는가?’라고 생각합니다.
논술은 큰 이변이 없으면 학교마다 출제하는 문제 유형이 정해져 있어요! 그리고 사람마다 자신이 더 잘 쓰는 유형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요약하는 문제를 잘 푸는지, 자신의 생각을 쓰는 문제를 잘 푸는지 등을 생각해보고 자신과 잘 맞는 논술 문제를 내는 학교를 찾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학교마다 원하는 논술 답안 형식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수랍니다.
#경쟁률보다 모집인원 수를 고려하기
논술전형은 따로 미리 준비하는 서류가 없기 때문에 다른 전형에 비해 지원하는 마지막 순간까지 고민하고, 지원할 학교 및 과를 바꾸는 경우가 되게 많아요.
자신이 원하는 과를 확실하게 정하지 않았다면, 합격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 경쟁률을 지켜보다가 낮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과에 넣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하지만, 저는 논술전형을 지원할 때 과별 경쟁률을 신경쓰기보다는, 모집 인원을 고려해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논술전형 자체가 경쟁률이 낮을 수 없고, 거의 비슷비슷하게 높은 경쟁률을 기록합니다! 그리고 해마다 최저 충족률에 따라 실질경쟁률도 달라지니 경쟁률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고, 경쟁률이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진 않아요.
따라서 모집인원이 많은 학과를 지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모집 인원이 많으면 추가합격이 많이 도는 경우가 많으니 이 점 고려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원할 학교의 시험 응시 날짜 및 시간, 장소 확인하기
위에서 알려드렸던 것을 참고해서 지원할만한 학교들을 추렸다면, 여기서 정말 시험을 볼 수 있는 학교들을 선정해야 합니다!
저는 위의 과정들을 통해 9개의 학교를 추렸고 이 과정에서 6개의 지원할 학교를 확정시켰어요.
이 과정은 어찌보면 당연한 과정이지만, 꼭 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저도 지원하려고 하다가 코로나 사태로 학교에서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닌, 먼 곳으로 시험보는 학교를 지원서 작성하기 직전에 깨닫고 대체할 다른 학교를 찾느라 정말 힘들었습니다..ㅠㅠ
같은 학교 안에서도 단과대별로 응시하는 시간이 다른 경우가 많으니 자신이 지원하는 과가 언제 시험보는 것인지 확실하게 알아두고 정리하는 것이 필요해요.
저는 하루에 한 학교 시험만 보고도 진이 빠져서 한 학교만 보는 것을 추천하지만, 하루에 두 개씩 시험 보는 분들도 꽤 많더라구요!
하루에 두 학교 이상 볼 계획이시면 학교 간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을 잘 계산해 보셔야 하겠죠? 논술 당일 학교 주변에는 수험생들로 도로가 꽉 막혀있으니 넉넉하게 시간 계산 하셔야 합니다!
다음 칼럼으로는 [논술 독학으로 공부하는 팁]에 대해 작성하도록 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