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1.JPG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 진희 멘토입니다. 

오늘은 진로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저 같은 경우는 지금까지 제 글을 보셨다면 제가 어떤 지향점을 갖고 있었는지 아시겠지만 저는 외교관이라는 꿈을 적어도 10년 동안 꿔왔던 학생이고 따라서 학생부 종합 전형에서 목표하고자 하는 과도 정치외교학과 하나였어요. 하지만 학교에서 하는 활동에서는 정치외교학과나 외교관에 관련된 활동을 찾기가 어려웠는데요, 따라서 저는 최대한 다양한 활동에서 이를 정치 혹은 외교에 접목 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어요!! 무엇보다 빠른 건 직접 보는 거겠죠??

 

 

1학년

-제12회 경남교육박람회(2016.12.11./4시간)에서 행복교육, 안전건강,인성 미래, 진로교육, 나눔교육 등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진 체험관 부스에 참여하 여 자신의 진로탐색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로 임함.

 

 

 

 

2학년

-미래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2017.08.21.) 활동을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외 교관련 직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유지될 수 있는 방안으로 국민들이 외교관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관심 직업 도서 탐색 및 읽 기(2017.11.06.) 활동을 통해 '왜 음식물의 절반이 버려지는데 누군가는 굶 어죽는가(슈테판 크로이츠베르거, 발렌틴 투른)'을 읽고 버려지는 쓰레기와 굶어죽는 사람들의 모순된 상황에 대해 고민하고 자신이 외교관이 되어 문 제를 해결할 방안의 하나로 책 속의 '쓰레기 맛을 봐'라는 캠페인을 생각해 봄.

-미래 직업 명함만들기(2017.11.20.) 활동에서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한 국을 알리는 자신의 모습을 반영한 명함을 제작함. 학업노력과 학습경험 자 기소개서 쓰기(2017.12.04.)

-좋은 책 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정세현의 외교토크, MT정치외교학, 이유있 는 반대' 등 자신의 진로 분야나 진학 희망학과와 관련된 서적을 열심히 읽 고 진로 결정의 계기로 삼았으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미리 준비하는 모습을 보임.

 

 

 

 

3학년

-진로독서활동(2018.04.12.)에서 '권력의 기원을 찾는다.로크의 정부론(김성 우)'을 읽음. 오늘날 존재하는 정치 권력의 기원과 발생이유를 탐구한 책으 로 특히 '하늘에 호소할 수 있는 권리, 국민의 저항권' 부분이 가장 인상 깊 은 내용이었고, 로크의 정당한 저항은 정부를 혼란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 아니며 단지 저항권이 문제가 아나라 저항권을 행사할 지경에 이르게 한 통 치자의 잘못이 가장 큰 문제임을 지적함. 아울러 저항권이 남용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개인을 보호해주지 못하고 자격이 없는 통치자에 대한 저항 권은 반드시 필요하며, 소임을 다하지 못한 정치 권력에 대해 대한민국 국민 이 촛불을 들고 이유 있는 저항을 했다고 생각하며 아울러 당위성 없이 촛불을 들고 모이는 경우는 오히려 국가의 혼란을 야기한다고 자신의 소견을 발표함

-진로관련영화를 찾아라(2018.04.26.)에서 영화 '1987'에 대해 발표함.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 두 살 대학생의 사망으로부터 시작되는 이 영화는 한 사람의 죽음을 계기로 억압되었던 저항이 터짐으로 많은 변화를 이룬 내용으로 '책상을 탁!치니, 억!하고 죽었습니다.'라는 유행어를 만들어 내기도 했으며, 정의를 지키려고 노력한 사람들을 보고 민주주의의 열망을 느낄 수 있었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매우 값지다고 소감을 밝힘.

-학업진로계획서 만들기(2018.05.10.)에서 대학을 진학하게 되면 그동안 많 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해 연구활동을 하고 싶다고 발표함. 특히 '위안부'문제에 대한 정부대책을 연구하고, 난민 문제, 국제 사 회의 움직임, 외교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는 폭넓은 독서를 하고, 모자뜨기로만 참여하였던 국제구호개발NGO 활동을 현장에 나가 몸으 로 직접 봉사활동으로 하고 싶다고 조리있게 발표함.

 

 

 

제가 생활 기록부를 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던 부분은 1학년 때는 전반적인 진로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정보를 찾으러 다녔다는 것. 2학년 때는 다양한 활동 즉 양적으로 많은 활동을 하며 진로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갔다는 것. 3학년 때는 하나의 활동을 하더라도 이들을 조금 더 깊게 하며 대한민국의 현안 혹은 국제 사회에서 주목을 끌고 있는 이슈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이렇게 3가지의 목표를 갖고 생활기록부를 구성했습니다.

 

 

다음 주에는 드디어!! 세부능력 특기 사항으로 들어가려고 합니다. 2번의 칼럼이 남은 만큼 어떤 방식의 전달이 여러분들에게 잘 와닿을까를 열심히 고민중이니 기대해주세요!!

 


  1. 수능 영어 공부법이 궁금해?

  2. 플래너는 어떻게 짜야 달성 확률이 높아질까? (플래너 짜는 방법/효율적인 시간관리)

  3. 고려대학교가 궁금해? #1 학교소개

  4. 복수전공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음악들으면서 수학 공부해도 괜찮을까?

  6. 생활기록부에 스토리 담기 [4] 학교 생활 중에 진로 활동 기록하기!

  7.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소개합니다!!

  8. 생활기록부에 스토리 담기 [2] 자율활동 1편_리더십, 수상기록과의 연계

  9. 세특 어떻게 채우냐고?_간호학과 5관왕의 세특채우기 노하우 알려줄게!

  10. 생활기록부에 스토리 담기 [3] 자율활동에 진로 기록을????

  11. [고려대 사슴 멘토] (2) 대한민국의 고딩이여, 결국은 학종이 너를 구원하리라 : 학생부 종합전형 파헤치기

  12. 특목고 출신 유학생 멘토가 알려주는 영어 공부법 3: 모의고사편 (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 56 Next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