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연구요원 (1).JPG

 

 

  안녕하세요, 든든멘토 포항공대 mentors입니다. 이번 칼럼에는 이공계 학생들의 병역대체복무 방법 중 하나인 전문연구요원제도를 소개하겠습니다. 

 

전문연구요원은 석사 박사 등 고급 인력의 학문과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기회를 부여하여 국가산업의 육성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대체복무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이공계 석사 및 박사학위를 목표로 가진 사람들의 경우 일반 병사가 되는 것보다 연구에 종사하는 것이 국익에 더 큰 이익이 되기 때문에 연구 활동으로 병역의무를 대신하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학사 졸업 후 산업체에서 대체복무를 하는 산업기능요원과는 다른 제도입니다.

 

  전문연구요원이란 병역자원 일부를 군 필요인원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병무청장이 선정한 지정업체에서 3년간 연구인력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병역대체복무제도입니다. 현재 2500명의 전문연구요원이 배정되었으며 기업, 정부출연 연구소, 국공립 연구기관, 대학원, 대학부설 연구소, 방위산업 연구기관 등에 배정되어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 열심히 종사하고 계십니다.

 

  전문연구요원은 수도권선발, 비수도권선발, 4대 과학기술원 선발을 따로 진행합니다. 2020년 전기 기준으로 수도권 선발의 경우 54%가 서울대, 17%가 연세대, 9%가 고려대, 7%가 한양대, 6%가 성균관대이며, 7%가 기타 대학(시립대, 중앙대, 경희대 등)입니다. 비수도권 선발의 경우 60%가 포항공대, 9%가 UST, 8%가 부산대, 8%가 경북대이며, 15%가 기타 대학(전남대, 충남대, 강원대 등)입니다.

 

  전문연구요원 선발 방법은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로 석사 취득 후 병역지정업체에서 3년간 근무하는 방법입니다. 두 번째로 신체검사 4급을 받은 경우 학사 취득 이후 기업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방법입니다. 세 번째로 박사과정에 재학하며 4년차부터 근무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박사과정에서 수강해야 하는 모든 수업을 수료한 이후 지원이 가능합니다.

 

 

  2020년 전문연구요원 제도가 개편되었습니다. 주요 변경사항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박사전문연구요원의 복무 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 기존 제도의 경우 박사과정 3년만 국내에서 수료하면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도 개편에 따라 2023년부터 전문연구요원을 시작할 경우 박사과정 2년과 포스트닥터 과정 1년을 의무로 국내에서 하도록 바뀌었습니다. 둘째로 출퇴근 시간이 원래는 아침 9시부터 18시로 고정되어있었지만, 대학 연구시설의 연구시간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어 주 40시간 유연근무제로 전환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석사 전문연구요원의 경우 병역인구 감소로 인해 300명이 축소되었습니다. 따라서 2200명의 전문연구요원으로 변할 예정입니다. 이전보다 메리트가 줄어듦을 알 수 있습니다.

 

  전문연구요원 제도는 36개월이라는 약간은 긴 기간동안 국내에서 연구활동을 하게 됩니다. 육군의 경우 18개월로 딱 절반이 되어 전문연구요원의 메리트가 더 크지 않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만약 교수가 목표인 이공계생의 경우 전문연구요원의 메리트가 더 없는데, 왜냐하면 보통 교수님들의 스펙을 보면 해외박사를 취득하거나 국내 박사 후 해외포닥을 한 후 교수가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해외 유학의 경우 병역의무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전문연구요원 외에도 과기사관학도라고 따로 병역문제와 연구활동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학부 2학년때 미리 선발되어 학부 졸업시 국방연구소(정출연)에서 3년간 연구하며 의무복무하는 제도입니다. 매년 이공계 분야 전체에서 20명 정도를 선발합니다. 한 학기에 등록금과 더불어 250만원이 지급되는 큰 메리트가 있습니다. 3년간의 연구를 마친다면 보통 해외 대학원을 준비하게 됩니다. 꿈이 연구원 혹은 교수라면 이공계 학생이 가질 수 있는 최강 스펙인 과기사관을 지원하는 것도 좋은 방향입니다.

 

 


  1. 영어 학원 없이 영어 공부하기 (내신편)

  2. 수능 끝나면 뭐 할까? 수능 끝나고 추천하는 활동!!

  3. 서울대생이 알려주는 내신 국어 공부법!

  4. 항공우주공학과는 어떤 학과일까?

  5. 단국대학교 행정학과에 대하여

  6. 한남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 학과, 더 알아보아요!

  7. N수 생활 세부내용

  8. 영어영문학과에서는 뭘 배울까

  9. [고1부터 고3까지 학종준비!] ⑤ 자기소개서 / 소재를 어떻게 찾을까요?

  10. 사회문화, 내신 5등급을 2등급으로 바꾸기-사문 수능 1등급 공부법

  11. 문과의 꽃, 사학과에 대해 알아보자!

  12. 이공계 병역대체복무 소개 : 군대가기 싫어? 합법적으로 군대가지 말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 56 Next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