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1.JPG

 

 

안녕하세요, 든든멘토 서울대학교 하루msn035.gif입니다. 

오늘은 영어 단어 공부법에 대해서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영어 단어를 많이 아는 것은 영어 공부의 기본이자, 실력 향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저는 영어 단어 공부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고등학교 초반까지도 비효율적으로 공부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여러분들은 저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람에서, 영어 단어를 외우는 올바른 방법에 대한 칼럼을 쓰고자 결정했습니다. 함께 자세히 알아볼까요?

 

 

1. 어미, 어두를 중심으로 외우자.

영어 단어는 어미와 어두만 알고 있어도 그 의미를 쉽게 연상할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 

가령, ‘pre’라는 어두는 ‘이전의, 미리, 앞의’ 등을 의미하는데요, 그에 따라 ‘prevent(미리) 예방하다’, ‘previous 이전의’, ‘precede 앞서다’, ‘prepare 대비하다’, ‘prerequisite 전제조건’, ‘preliminary 예비의’ 등 해당 어두를 포함하고 있는 무수히 많은 단어의 의미를 쉽게 연상하실 수 있습니다. 즉, 어두와 어미를 중심으로 단어를 외우면, 처음 보는 단어의 뜻을 유추할 수 있고 암기 시간도 훨씬 단축하실 수 있습니다.

 

 

 

 

2. 단어를 외우기 위해 모든 감각을 동원하자 : 뇌에 새로운 자극을 주자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는 책상에 앉아 눈으로만 익히는 단어 공부법의 한계를 느낄 것입니다. 아무리 반복해서 외워도 매번 모르겠다면, 누구나 의욕이 상실하기 마련이죠. 아무리 해도 진전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신다면, 새로운 단어 공부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는 뇌에 자극을 줄 수 있는, 기존의 눈으로만 익히는 단어 공부법과는 차별화된 여러 방법들에 대해 적어놓았습니다.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가장 잘 맞고, 효과적인 공부법을 찾아 적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예시 문장과 함께 외우자.

② 단어장에 딸린 듣기 자료를 적극 활용하자. 듣기 자료의 억양과 발음에 집중하고, 머릿속에서 단어를 끊임없이 그리다 보면, 어느새 단어가 술술 외워지기 시작할 것입니다.

③ 일반적으로는 영어를 보고, 한글 해석을 떠올리는 방식이었다면, 이번에는 한글을 보고 영어를 떠올리도록 공부하자. 별거 아닌 듯하지만, 이 작은 변화가 여러분의 뇌를 새롭게 자극할 것입니다.

쓰면서 외우자. 쓰면서 외울 때도 나름대로의 노하우가 있습니다. 단어를 쓰면서 외울 때는 한 단어만을 연속해서 10번씩 쓰는 것이 아니라, 한 단어를 5번 집중해서 쓴 이후에 다음 단어로 넘어가고, 이렇게 10단어 정도를 썼으면 다시 처음의 단어를 5번씩 쓰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한 단어를 기계적으로 10번 쓰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머리를 더 쓸 수 있는, 효과적인 암기법입니다. 일부러 뇌에 혼란을 줌으로써, 오히려 집중도는 올라가고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는 것이지요. 여러분의 단기기억력에 따라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기억하세요! 우리의 목표는 단어로 노트 한 장을 빼곡히 채우는 것이 아닙니다!

 

 

 

3. 단어 공부의 생명은 반복!

방대한 양의 단어는 1-2번 공부해서는 결코 기억에 남지 않습니다. 같은 단어를 시간적 간격을 두고 적어도 8-10번 정도는 봐야 대략 기억에 남는 정도이지요. 그렇게 하고도 조금만 소홀히 하면 금세 날아가 버리는 것이 기억입니다.

 

따라서 저는 동일한 단어책을 적어도 3번 이상 반복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때 방점을 찍고 싶은 지점은 바로 '동일한 단어책''적어도 3번 이상'이라는 것이다. 우선, 동일한 단어책을 사용해야지 외우기가 쉽습니다. 무엇이든 익숙해야 머릿속에 남는데, 매번 새로운 단어책을 사용하면, 그 '익숙함'이라는 이점을 누리기 어렵습니다. 책마다 디자인, 단어를 나열한 순서, 예제 문장 등이 다르기 때문이죠. 이런 요소들이 단어 공부와 무슨 상관이 있냐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미묘한 차이일지라도, 암기에 있어서는 그 요소들이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같은 단어장을 페이지가 닳도록 공부해야 합니다.

 

두 번째, '적어도 3번 이상'은 3번 가지고도 부족하다는 이야기라는 점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머릿속에 단어가 주는 느낌만이라도 간직하려면 3번 정도는 반복해야 한다는 것이지, 단 3번을 보고 확실한 암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같은 단어장을 3번 이상 보되, 그 안의 챕터들은 수도 없이 반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한 좋은 방법은 바로 '누적 암기'입니다. 일반적인 단어장들은 20-30 단어들이 하나의 챕터 혹은 ‘day’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때 누적 암기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day1에서 day 7까지 한 번에 외우고 자가 시험을 본 뒤, 다음 단어 시험공부 범위를 day1에서 day 14로 삼는 것입니다. 또 그다음에는 day 1에서 day 21까지 한 번에 공부할 수 있겠죠. 이렇게 한 단어를 적어도 3번 이상 반복할 수 있도록 하고, 늘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단어장 하나를 마스터합니다. 이후에는 동일한 방식으로 같은 단어장을 세 번 이상 공부합니다. 이해되셨나요?

 

이 과정을 제대로 따라온다면, 반복의 막바지에 이르러서는 단어들에 조그맣게 딸린 동의어와 반의어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때부터 동의어와 반의어까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빠르게 외우면 되는 것입니다. 앞으로 단어장을 한 번 보고는 마스터했다고 착각하시거나, 공부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단어장에 눈독을 들이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4. 나만의 단어장을 만들자.

방법은 간단합니다. 모의고사나 문제집 등 독해 연습을 하면서, 모르는 단어 혹은 의미가 낯설게 느껴지는 단어들에 형광펜을 치고, 하나의 노트에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입니다. 공책 한 페이지를 4분할하여 (영어 단어)-(뜻) / (영어 단어)-(뜻) 순서대로 정리하면 보기에도 편하고, 자가 시험을 치르기에도 좋습니다.

 

 

 

5. 단어를 외우는 궁극적 목적을 잊지 말자.

간혹 단어를 외우기 위해 단어 공부를 하는 학생들을 보곤 합니다. 단어를 외우는 목적을 상실한 채, 시험만 보고 나면 다시 새카맣게 잊어버리는 비효율적인 공부를 반복하곤 하죠. 그에 대한 예시가 단어의 몇 글자(ex. 앞/뒤 글자)만 보고 단기간에 외우는 방법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단어를 외우는 것은 여러분의 독해 실력의 향상과는 무관한, 무의미한 방법이라는 점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우리의 목적은 단어 공부를 통해서 독해와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6. 암기를 극복하고, 의미를 유추하자

마지막으로 모든 암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단어 공부도 마찬가지이지요. 따라서 이 세상의 모든 단어를 외우려 하기보다는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유추해보는 연습을 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단어 공부의 궁극적 목적은 독해/듣기 실력의 향상이라고 언급했었죠? 이를 위해 독해 문제를 풀 때, 문장의 앞뒤 맥락, 주제, 문장 내 이미 알고 있는 단어들을 통해서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유추해보세요. 처음에는 ‘이 단어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리킬 거야’처럼 단어의 대략적인 이미지만을 판별하다가, 실력이 쌓일수록 보다 정교한 의미에 대해 유추하는 방식으로요. 이러한 연습을 지속적으로 한다면, 지문에서 생판 모르는 단어가 등장하더라도 문제를 풀어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올바른 영어 단어 공부법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여러 방법들 중에서 여러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가공해서 여러분들만의 독자적인 영어 공부법을 개발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성공회대학교의 학부 및 전공 소개!

  2. 사회탐구 완벽하게 정복하기 !

  3. 수학 4등급에서 1등급 급상승 공부법

  4. 국어 모의고사와 수능 1등급을 위한 커리큘럼

  5. 영어 실력 향상의 핵심, 단어 공부! 과연 잘하고 있는 걸까? #올바른 영어 단어 공부법

  6. 10일만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95점으로 1급 합격하기

  7. 현명한 대학생활 꿀팁!

  8. 유아교육학과에 대한 진실 파헤쳐 보기

  9. 건축에 관심 있는 친구들 주목!!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A to Z

  10. [국제통상학과 알아보기 1탄] 국제통상학과가 뭐야?! 국통을 알고 싶다고?!

  11. 수능영어는 어떻게 정복해야 할까?

  12. 여름/겨울 방학 알차게 보내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56 Next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