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기부 세특 (1).JPG

 

 

안녕하세요! 든든멘토 고려대학교 '사슴' 멘토입니다.

오늘은 생활기록부 작성 팁 및 QnA를 쓸 예정이에요.

 

+) 시작하기 전에,

저는 19학번으로 현역 입학했고 제가 고등학교를 다닌 기간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입니다. 

때문에 개정된 교육과정이나 입시 전형 등에 적용하기는 힘든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에도 최대한 제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정보를 적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먼저, 제 생활기록부는 총 29페이지입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을 준비하는 사람들 가운데에서도 그리 짧지 않은 양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2년 동안 1시간짜리 봉사활동을 매주 1회 이상 하다 보니 길이가 좀 늘어나서 

거의 5쪽 정도를 차지하는 점을 감안한다면, 실질적으로는 24~25장 정도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생활기록부를 알차게 채우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하고 싶은 것, 내가 되고 싶은 것, 내가 잘할 수 있는 것, 내가 잘 하지 못하는 것' 등을 잘 알아야만, '나'에 관한 기록인 생활기록부를 제대로 채워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과목 세특은 어떻게 챙기는가?  

  A. 우선, 세부특기사항은 교사가 학생을 관찰한 바를 솔직하게 적는 란이므로, 평소 학업생활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그리고 얼마나 열정적인 학생인지가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세특을 채우기 위해 많은 활동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평소 수업에 집중하고 질문을 많이 할수록 유리합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의 핵심은 '뭐든지 열심히'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열심히 하되, 그 모든 것을 연계해 희망 진로로의 심화 탐구로 귀결시키는 것. 그렇기 때문에 팁은 간단합니다. "발표할 기회가 있다면 무조건 해라. 보고서를 낼 일이 있다면 무조건 써라. 진로와 관련된 과목이라면 항상 하되, 끝없이 심화시키고 발전시켜라. 관련이 없는 과목이라면 최소한 1회만이라도 하되, 최대한 진로와 연계할 수 있도록 구성해라."

  또한, 자신이 했던 활동들을 꼼꼼하게 기록해두는 것도 중요합니다. 원칙적으로 세부특기사항은 담당 과목 선생님께서 작성해주시는 것이므로, 자신이 그동안 해 온 다양한 활동들을 자세히 기록해두었다가 생활기록부 입력기간에 선생님께 전해드리면 선생님께서 세특을 자세히 입력하시는 데 더욱 도움이 됩니다.

 

  이중에서 어떻게 진로와 관련이 있는 과목을 심화 탐구하며, 진로와 관련이 없는 과목은 어떻게 연계시켜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힐 수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제 세부특기사항 중 일부를 옮겨보겠습니다. (설명에 꼭 필요한 부분을 빼고는 모자이크하였습니다)

 

 

  a. 2학년1학기 화법과작문

image.png

  -> 진로 관련 과목 심화 탐구 예시입니다. K-MOOC 강의를 들었다는 팩트에서 끝나지 않고 발표로 연계한 후, 신문 칼럼 스크랩 활동에서 발표 내용을 심화하여 비문학 글쓰기까지 진행하였습니다.

 

 

  b. 3학년1학기 독서와문법

image.png

  -> 마찬가지로 진로 관련 과목 심화 탐구 예시입니다. 수업시간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던지며, 스스로 심화 탐구를 진행했다는 내용이 세부특기사항에 들어 있습니다. 실제로 국어 선생님께서 전부 적어주신 내용이며, 평소 질문을 자주 한 사실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하늘색으로 밑줄 친 부분에서 구체적인 탐구 내용까지 기재함으로써 더욱 진실성 있는 서술이 되었습니다.

 

 

  c. 2학년2학기 중국어I

image.png

  -> 제 2학년 진로희망이 '언어학자, 한국어 교육자'였다고 위에서 말씀드린 것 기억하시나요? 진로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과목과 진로희망사항을 연계한 사례입니다.

 

 

 

  d. 3학년1학기 동아시아사  image.png

  -> 제 3학년 진로희망은 '국어학자'였는데요. 이러한 진로를 희망하게 된 데에는 2학년 때 '다양한 언어.문화권에서의 경어법 사용 비교'라는 주제로 썼던 연구보고서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위는 2학년 때 진행한 활동과 진로희망사항을 묶어, 3학년1학기 과목 세특과 연계한 사례입니다.

 

 

  e. 3학년1학기 확률과통계

image.png

  -> 마찬가지로 진로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과목과 진로희망사항을 연계한 사례입니다. '한국어와 일본어 비교'를 주제로 탐구한 활동이 있었는데(자기소개서에도 이 내용을 작성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기계 번역의 원리에 관심이 생겨서 추가적으로 탐구해보고 확률과통계 시간에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언어 영역과 확률과통계 영역은 전혀 관련이 없을 것 같죠? 하지만 오늘날의 학문들은 어떤 식으로든 모두 연계되어 있답니다.

 

 

  f. 3학년1학기 한국지리

image.png

image.png

  -> 한국지리 과목을 진문학, 문법 등의 국어 과목과 연계한 사례입니다.

 

 

 

  g. 3학년1학기 종합

image.png

  -> 위 내용들을 모두 뒷받침하는 내용이라서 첨부해보았습니다. '연쇄적인 호기심', '깊이 있는 탐구', '틀에 박힌 해석보다는 능동적 의미 도출을 통해 주체적으로 감상', '간학문적으로 적용' 등 심화 탐구와 과목간 연계가 모두 드러나는 내용으로, 담임 선생님께서 써 주신 내용입니다.

 

정리: 뭐든지 열심히, 진로 관련 과목이라면 심화 탐구, 진로 무관 과목이라면 최대한 진로와 연계, 활동 내역 꼼꼼히 기록해두기

 

 

-----------

 

 

사람마다 특성이 다르고, 현재 교육과정도 바뀌었기 때문에 상황이 완전히 똑같지 않을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말씀드린 내용 중에 여러분께서 취사선택하여 도움을 얻으신 부분이 있다면,

정말 보람 있고 감사할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칼럼에서 만나요!

 


  1. 통계학과는 확통을 잘한다?!?!?!?(난아님...)

  2. 처음 가본 수능시험장에선 무엇을 해야할까?

  3. 자격증 딸 수 있는 꿀팁 궁금한 사람 드루왕! <HSK, 컴활>

  4. 처음 가본 수능시험장에선 무엇을 해야할까?

  5. "식품영양학과 진학하면 영양사 하는 거야?" - 식품영양학과 1편 -

  6. 4등급에서 1등급까지 수능영어공부법

  7. 알면 도움되는 대학생활 꿀팁!

  8. 면접 꿀팁

  9. 생활기록부에 관한 5문5답

  10.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정복하기!

  11. 경영학과 소개(2) - 취업진로 위주

  12. 정치외교학과, 낯설다면 참고해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 56 Next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