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든든멘토 중앙대학교 정은효입니다.
이번 칼럼 주제는 중앙대학교 영화학과라면 들어야할 필수강의입니다!
졸업요건이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각 학교별, 학과별 다르지만 저는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기준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교양 29학점, 전공 기초 10-15학점, 전공교육 69학점( 최소54학점)이며, 졸업학점은 132학점입니다. 교양은 최대 45학점까지 인정됩니다!
저도 처음 대학생이 되었을 때 학점이라는 개념이 생소했는데요, 학점은 대부분 일주일 수업 시수에 비례하나 영화과는 그렇지 않은 과목도 꽤 많습니다. 4시간짜리 수업인데 3학점이 인정되는게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럼 기초 설명은 마무리하고 영화학과 수업 교과목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전공 기초 과목입니다. 이 강의들은 모두 1학년 때에 수강해야합니다.
이미지 구성(1학년 1학기)
이 과목은 이미지에 대해 이해하는 과목입니다. 시각 예술은 다양한 방식의 이미지를 통해 이야기를 표현해 왔으며, 이미지는 말과 글 이상의 힘을 내포하므로 종합적인 영화 예술을 이해하기에 앞서 이미지의 구성 요소와 표현력에 대해 연구하는 본질적인 수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과목에서는 영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접해 봄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기초 지식들을 쌓아나갈 수 있는 과목입니다.
세계영화사(1학년 1학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영화가 탄생한 19세기 말부터 시작해 당대에 이르기까지, 영화의 사회적, 사상적, 양식적 요소들을 연대기 순으로 살펴보는 수업입니다. 한국사처럼 대한민국을 이해하기 위해 역사를 공부하는 게 필수적인 만큼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 뒷받침 되는 영화사 수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미지의 역사(1학년 2학기)
둘째, 전공 과목입니다.
1학년 과목으로는 시나리오 기초, 고전영화의 이해가 있으며, 2학년 과목으로는 한국영화사, 영화를 위한 조사 연구, 영상언어연출, 서사분석, 영화미학입문(전공기초), 기획개발,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이 있습니다.
3학년 과목으로는 단편영화워크샵, 영화기술실습, 현대사상과 영화, 장르영화분석, 영화연기연출, 다큐멘터리, 영상산업과 정책, 영화현장실습, 영화와 첨단기술의 이해, 작가예술영화론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4학년 과목으로는 영화제작실습1, 전공연구1, 단편영화의 현장, 현대영화분석세미나, 영화제작실습2, 전공연구2, 한국영화의 쟁점, 영화제작기획이 있습니다.
이처럼 영화학과에서는 다양한 것들을 배우는데요, 다음 칼럼은 중앙대학교에 있는 흥미로운 교양수업위주로 찾아올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