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환경과학과 (1).JPG

 

 

여러분 안녕하세요. 공블러 든든멘토 충남대학교 효콩입니다!

오늘은 제가 주전공으로 공부하고 있는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에 대해서 소개해보려고 해요.

아마도 지질환경과학과를 처음 들어보거나 생소하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그럼 소개 시작하겠습니다.

 

 

지질환경과학과란?

지질환경과학과는 자연과학 중 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지질학을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지구의 구조와 지각에 작용하는 여러 가지 힘들의 원인, 지구 표면에서 발생하는 변화와 지구에서 살아왔던 생물의 역사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지각 내부에 존재하는 광물자원이나 에너지 자원, 수자원의 분포를 조사해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기여하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원자력 연구소나 핵폐기물 처리장 등이 들어서기 전에 지질 및 지반조사를 통해 안전하게 이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마지막으로 지진이나 화산, 홍수 등의 자연재해를 연구하여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대책을 제시합니다.

 

 

무엇을 배우나요?

우선 1학년 때는 전공 기초 과목인 지질학개론 1,2 및 전공 공부에 필요한 전공필수교양을 수강합니다. 지질학개론은 전공에 대한 기초내용과 앞으로 배울 전공 내용을 조금씩 섞어 놓은 요약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후로 직접 필드를 가서 암석과 지층 구조를 관찰하는 지질실습과 다양한 광물을 관찰해볼 수 있는 광물학 및 실험, 파이썬을 이용하는 전산지질실습과 arc GIS를 이용하는 법을 배우는 지질정보통계학 등 이밖에도 다양한 과목을 통해 지구에 대해 알아갑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빈번히 발생 중인 지진을 배우는 지진학 입문, 응용지진학과 자연재해에 대해 공부하는 자연재해, 화산학 과목도 있습니다.

 

 

 

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

졸업 후 진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극지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다양한 연구소로의 취업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구소로 취업을 하려면 대학원 생각은 해봐야겠죠? 또한, 저희 과는 교직 이수가 가능한 과여서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지구과학 교사로도 취업이 가능합니다.

 

 

 

 

 

이 과만의 특별한 장점이 있나요?

제가 생각하는 저희 과의 장점을 크게 3가지로 알려드릴게요.

 

첫 번째는 직접 눈으로 보고 발로 뛰면서 전공 지식을 배운다!

강의실에서 앉아서 수업을 듣는 이론형 수업도 물론 많지만, 실험과 필드를 가는 수업도 많은데요. 지질실습과 퇴적학 과목이 대표적으로 필드를 가는 수업입니다. 저희 때는 지질실습에서는 강원도 태백으로 34일 동안 여러 박물관과 석개재를 돌아다니면서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암석과 지층의 구조를 관찰하고 그 구조가 어떻게 생겨났을지 생각해보는 능력을 길렀습니다. 또한, 클리노미터를 이용해서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직접 재보면서 이론 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제로 사용해보았습니다. 다양한 퇴적구조에 대해 배우는 퇴적학 수업에서도 12일 동안 필드를 가는데 저희 때는 아쉽게 코로나로 인해 가지 못했습니다. 약간의 체력이 필요하지만 직접 보고 배우니 아직까지도 기억에 남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광물에 대해 배우는 광물학 시간에는 직접 현미경으로 암석을 관찰하고 암석에 들어있는 광물을 찾아내는데, 밑에 위치한 사진이 실험 시간에 제가 직접 관찰한 사진입니다.

 KakaoTalk_20210305_114444500_01.jpgKakaoTalk_20210305_114444500.jpg

 

두 번째 저희 과의 장점은 앞에서 언급한 교직 이수가 가능한 과라는 겁니다!

물론 저희 학과에 들어온 모든 학과생들이 교직 이수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정원 내 4%에서 교직 신청이 가능한데요, 교직 이수를 노리고 저희 과에 오신다면 1학년 때부터 성적을 잘 챙기셔야 합니다. 이렇게 교직 선발이 완료되면 전공 과목 뿐만아니라 교직과목도 이수를 하셔서 학점을 챙기셔야 하고 봉사시간도 채우셔야 합니다.

교사되는 길이 마냥 쉽다고 볼 수 없겠죠? 이렇게 열심히 대학 생활을 하시면 중등교사 2(지구과학, 공통과학) 자격증을 취득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저희 과의 장점은 졸업 요건이 논문만 있다는 것이 아니다!

졸업을 앞두고 어김없이 찾아오는 졸업논문은 취업도 준비해야 하는 졸업생들에게 부담이 아닐 수가 없는데요. 저희 과에서는 논문과 졸업시험, 캡스톤 3개 중에서 골라서 졸업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캡스톤은 3학점 과목이라 학점도 채우고 졸업 요건도 채우고 12조겠죠? 하지만 졸업요건인 만큼 쉽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조원들과 함께 연구 주제를 정하고 열심히 논문형 보고서를 작성하여 학기말에는 발표도 해야합니다. 하지만 조원들과 함께하는 것이라 혼자 작성하는 논문보다는 부담감을 덜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지질환경과학과에 대해 소개를 해보았는데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에는 더 유익한 주제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생윤 만점자의 일년간 커리큘럼

  2. 효율 100%로 집공부하는 법! 1편

  3. 곽대 미대생의 미대 입시 조언 2탄! (최종)

  4.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공학과 모두 화학을 배우겠지? 무슨 차이일까?라는 생각한 적 있는 사람!

  5.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여기 어때?

  6.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환경과학과를 소개합니다!

  7. [문헌정보학과] 도서관과 관련된 수업들 탐방해보기!

  8. 사범대학에서는 진로가 교사밖에 없는걸까?

  9. 대학생의 전공 공부

  10. 간호학과 다양한 취업

  11. 꿀알바로 소문난 국가 근로, 함께 알아보자!

  12. 중앙대학교 영화학과라면 들어야할 필수 강의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 56 Next
/ 56